2023. 3. 9. 20:43ㆍ기타
반 가정에 쓰이는 컴퓨터로 유닉스나 리눅스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다.
그냥 있는 컴퓨터에 리눅스를 설치해서 사용한다면 기존 컴퓨터에 있는 윈도우가 깔려있어 두개의 운영체제를 운용할 수 는 있긴 하다
하지만 이것은 잘못하면 모든 운영체제를 날릴 수 있기 때문에 듀얼 부팅은 좋지 않다.
우리가 우회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바로 vmware를 통해 컴퓨터 내 가상머신을 만들어 운영체제를 돌리는 것이다.
ssh, telnet 등의 방법들로 unix를 원격 접속하는 방법이 있고 cygwin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가상머신을 깔지 않고도 윈도우 에서 unix의 운영체제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www.cygwin.com
에서 install해서 할 수 있는 것이다.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Cygwin은 윈도우에서 Linux의 터미널을 쓸 수 있도록 해주는 GNU의 프로그램으로 유명합니다. 설치는 https://cygwin.com 에서 왼쪽 상단의 Install Cygwin 메뉴로 들어가거나 바로 https://cygwin.com/install.ht..
zeany.net
여기서 검색을 이용하여 패키지를 추가로 다운 받을 수 있고
wget raw.github.com/transcode-open/apt-cyg/master/apt-cyg
chmod +x apt-cyg
mv apt-cyg /usr/local/bin
apt-cyg install + 패키지 명
혹은 설치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해서 패키지를 받는 방법이 있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주로 리눅스를 써봤으면 알겠지만
똑같은 환경이며
cd 만 쳐서 나오는 사용자 홈 디렉토리의 주소가 이것이다.

이 위치대로 파일이 똑같이 생긴다.
이 환경에서 vim을 실행하고 컴파일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쓰이는 vim 에디터나 gcc 컴파일러는 설치하면서 패키지를 깔아야하니 꼭 알아두자
이것 말고도 linux 운영체제를 윈도우에서 구동할 수 있는 WSL도 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전관리 git, github (0) | 2023.03.26 |
---|---|
논문 번역 하기 좋은 번역기 DEEPL (0) | 2023.03.07 |
CHATGPT로 정보보안공부에 도움을 받아보다. (0) | 2023.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