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보안동향

각국에서 뛰어드는 AI 언어모델, CHATGPT

이수민 2023. 5. 13. 15:22

출처 : open AI

위는 open AI에서 공개한 chatgpt의 학습 방법이다.

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RLHF) :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 Human-in-the-loop(HITL)

GPT는 1에서 3까지는 데이터 모델을 증가시키며 학습해왔고, 매개변수의 발전 숫자는 GPT 1 : 1.17 - GPT 2 : 15억개 - GPT 3 : 1750억개 - GPT 3.5 1750억개 이다.

ChatGPT는 강화학습에 HITL 방식을 접목한 instructGPT의 형제모델로, 3.5의 이름이 붙여졌고 현재 4.0까지 나와있다.

 

 

ChatGPT는  단기간에 1억명의 사용자를 돌파한 잠재력이 어마어마한 사이트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973058#home

이전에는 또한 메타버스, NFT, 인공지능이 구글 트랜드였다면 2023년에는 CHATGPT가 될 정도로 핫한 분야일 뿐만 아니라  시장 규모또한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IT분야의 뜨거운 감자이다.

 

이때문에 분야에 뛰어드는 각국의 기업들 또한 언어모델 개발에 착수하고 있다.

 

ms가 OpenAI에게 데이터 센터를 제공해주고, bing에 Chatgpt 를 도입하거나, CHATGPT API를 이용한 사이트 기능들, 크롬확장 프로그램들이 점점 늘어 생활 속에서 정착되고 있다.

심지어 삼성에서는 ChatGPT를 bing에 넣는 것을 검토한다는 말에 google 대신 bing을 삼성 검색엔진으로 도입하는 것을 검토중이라고 한다.

 

삼성전자, 검색엔진 구글→MS ‘빙(Bing)’으로 교체 검토

https://www.infostock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1358 

 

삼성전자, 검색엔진 구글→MS ‘빙(Bing)’으로 교체 검토 - 인포스탁데일리

[인포스탁데일리=김연수 기자]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기본 검색 엔진을 구글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빙(Bing)으로 교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구글

www.infostockdaily.co.kr

 

+ : 각국 기업의 대화형 AI 대형 언어모델

naver : hyperclova

kakao : KoGPT

SK telecom: A.

KT : Mi:deum

LG ai research:Exaone

알리바바 : Tongyi Qianwen

바이두 : ERNIE

Open AI : ChatGPT

Google : b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