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클라우드

[AWS]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자격증 취득 후기

이수민 2023. 11. 11. 22:09

 

현재 클라우드 관련 서비스를 주제로 개발을 하고 있다.

때문에 프로젝트에 관한 신뢰성과 성과물을 위해 자격증을 따야 했는데....

그간 알고 있던 내용이 있다고 하더라도 정말 급하게 따게 되었다.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어 공부는 5일 정도 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정말 열심히 공부한 건 이틀정도 기간인 것 같다.

 

바로 associate를 따고 싶었지만, 왜 cloud practitioner을 따게 되었냐면.

2일차이로 챌린지 기간을 놓쳐 원가에 Associate를 따게 생겼고 이때, 25%의 할인을 주는 챌린지인 certified cloud parctitioner을 발견하게 되었다.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25% + 50%바우처를 받고 솔루션 아키텍트 자격증을 따는 것과 금액이 똑같다는 결론이 난 블로그 주인은 우선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을 따게 되었다.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은 시간나는 대로 취득해야겠다. 

 

 

자 이제 본론으로 넘어간다.

 

공부방법?

 

필자는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에 있어, 매일매일 클라우드 best practice를 공부하고 있었고, 클라우드 공식문서를 자주 읽으며 워크샵 및 KRUG를 다니던 사람이다.

 

이 때문에 보통 사람보다는 지식을 많이 알고는 있었으나 중요하고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게되는 부분에 대해서 해박했지, 자격증은 클라우드의 전반적인 이해는 낮았다.

 

공부방법

1. 유데미 강의

2. 유데미 모의고사

3. 덤프

4. 구글링(타 티스토리 및 공식문서)

 

일단 자격증을 공부하는 겸사, 프로젝트에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은 마음으로 최대한 모든 개념을 암기가 아니라 이해하려고 했다.

 

때문에 유데미 강의를 듣고 모의고사를 풀었는데, 이때 오답이 나오거나 헷갈렸던 부분은 4번의 구글링에 의존하여 이해하였다. 

 

그리고 자격증 시험 전날부터 덤프를 미친듯이 돌렸다. 2회독 정도 하였고...

 

https://www.examtopics.com/exams/amazon/aws-certified-cloud-practitioner/view/2/

 

위에 사이트를 490문제 2회독 했다.

 

시험후기는 다음과 같다.

 

Azure는 시험의 덤프가 거의 그대로 나온다면, AWS는 무료버전으로 공부해서 그런 건지는 몰라도 체감상 20%되는 것 같다.

 

완전 똑같은 문제가 아니라면 적어도 리소스나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해야될 것이다.

 

시험 당시 엄청난 대기시간과 오류로 45분의 시간을 잡아먹고 15분이나 늦게 시작했으니.. 다들 시험가서 제대로 봤으면 좋겠다.